내게 맞는 참고서 어떻게 고를까

내게 맞는 참고서 어떻게 고를까

입력 2012-02-28 00:00
업데이트 2012-0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학습 단계 간결한 것, 중-학습원리 익힐 기본서, 고-체계적인 개념 정리

새학년 첫 시작이 불과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서점마다 새 참고서를 사려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한 학년, 한 과목에도 수십권씩 쏟아져 나오는 ‘참고서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딱 맞는 참고서를 찾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나만의 맞춤 참고서를 똑똑하게 고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봤다.

●이미지 많으면 초등생 학습효과 높여

초등학생의 참고서는 학습 단계가 간결하고 이미지가 많은 것을 선택해 흥미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원식 좋은책신사고 콘텐츠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참고서를 구입할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부분은 학습 단계가 간결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라고 말했다. 학습 단계가 많고 복잡하면 무엇을 학습했는지 정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 연구원은 “연령이 낮은 초등학생일수록 학습 목표에 따른 학습 단계가 간결해야 학습한 내용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덧붙였다.

중요 개념을 삽화나 사진 같은 이미지로 설명하고 있는 참고서는 시각 매체에 익숙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높여준다.

중학교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 목표는 내신성적 관리와 향후 입시를 고려해 기본기를 다지는 것. 이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참고서는 과목별 기본 학습 원리를 익힐 수 있는 기본서와 함께 각종 시험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문제집을 부교재로 삼는 것이 좋다.

●고2·3 수능 경향 알 수 있는 기출문제집

고등학생의 경우 고1 과정은 수능의 바탕 지식이 되므로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개념 정리가 체계적으로 되어 있는 참고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본격적으로 수능을 준비하는 시기인 2, 3학년에는 사고력과 응용력을 기르는 단계별 학습에 초점을 두고 영역별로 수능 출제경향을 알 수 있는 기출문제집을 학습한 후, 수능 원리를 이해하고 실전에 대비할 수 있는 문제집을 선택하도록 한다.

한 연구원은 “특히 기출문제집을 구입할 때는 문제 양이 많은 것보다 최신 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최근 5개년 정도의 기출 문제가 수록되어 있고, 해설이 자세히 되어 있는 문제집을 골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02-28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