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평가에 구조조정” 불안한 대학원

“교육부 평가에 구조조정” 불안한 대학원

입력 2014-07-10 00:00
업데이트 2014-07-10 0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위따기용 관행 뿌리 뽑는다” 내년 예비평가 후 2016년 도입

지방대 출신인 A(35)씨는 인맥을 쌓으려고 3년 전 서울에 있는 4년제 대학의 언론 분야 특수대학원에 진학했다. 직장에 다니면서 학위를 따야 하기 때문에 공부에는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 A씨는 “교수 역시 수업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아 수업 분위기가 엉망이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부산에서 미술 분야 일반대학원에 다녔던 B(33·여)씨의 대학원 생활도 A씨와 비슷하다. 그는 “1시간 중 수업은 20분만 하고 4학기 내내 발표수업만 했다”면서 “대학원에서 제대로 된 수업을 받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앞으로 이런 대학원에 철퇴가 내려질 전망이다. 교육부가 대학원 평가를 도입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교육부 대학지원과 관계자는 9일 “하반기에 대학원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 뒤 내년에 예비 평가를 하고 2016년 대학원에 대한 평가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정한 지표를 만들어 평가한 뒤 학사 관리를 잘하는 대학에는 유인책을 주고 그렇지 못한 곳에는 불이익을 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당국이 대학원 자체를 평가하는 건 사실상 처음이다. 교육부가 현재 고려 중인 평가 항목은 교육과정 운영, 교수 학습 개선 노력, 졸업생 진학·취업률, 학위 수여와 연구 윤리 등으로 알려졌다.

대학원은 2004년 1030개에서 지난해 1200개로 꾸준히 늘었다. 이 과정에서 교육의 질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재 대학 평가를 통한 구조조정이 대학가의 화두인 만큼 대학원도 평가를 받으면 구조조정이 시작될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는다. 서울의 한 대학원장은 “대학원이 사실상 포화 상태여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면서 “다만 평가 지표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방과 수도권 대학, 인기 학과와 그렇지 못한 학과 사이의 갈등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지방대학의 대학원장은 “교육부가 구조조정에 혈안이 돼 있는 지금 대학원에 대한 평가는 곧 구조조정과 퇴출을 의미한다”면서 “평가를 하면 학생 수를 모두 채우지 못하는 지방 대학원들의 고사 현상이 가속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학원들은 의견을 모아 다음달까지 안을 만들어 교육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손병암(강원대 대학원장) 전국대학원장협의회장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학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대학원이 반대 의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7-10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