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카카오톡 대화에 사용된 “네”라는 답신 해독법

직장인 카카오톡 대화에 사용된 “네”라는 답신 해독법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7-10-10 11:31
업데이트 2017-10-10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장인들 사이에서 업무지시나 대화에서 카카오톡 메신저가 많이 사용되면서 “네”라는 답도 많이 하게 된다.
직장인들의 네 답변 의미.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직장인들의 네 답변 의미.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10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요즘 직장인들의 네’라는 글은 많은 직장인의 많은 공감을 얻었다. 해당 글은 직장인들이 “모든 감정표현을 ‘네’로 한다”며 다양한 예시를 들었다.

이글에 따르면 △ ‘네?’는 부정적인 맥락으로 “XX(비속어) 뭐라고?”,△ ‘네..’는 “그래,,알았어..”, △‘넹’은 “일단 대답함, 일은 이따 할거임”, △‘넵!!’은 “그래. 이건 지금 해줄게”, △‘앗 네!’는 “내가 실수했음,,”으로 해석된다.

한 30대 직장인은 “예전에 한 선배가 온점 3개를 쓴 말줄임표(...)를 애용하셨는데 처음에는 뭔가를 참는듯한 인상을 받아서 화가 났나 생각했다”며 “나중에 오해라는 걸 알았지만 나는 후배에게 그런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온점을 2개만 쓴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인스타그램 이용자는 최근 “수많은 직장인들이 ‘넵병’을 앓고 있다”며 카카오톡 대화창을 편집한 사진을 올렸다. 해당 사진에는 그냥 ‘넵’부터 ‘넵ㅜㅜ’, ‘넵~!’, ‘넵..’, ‘넵!’ 등 특수부호와 함께 쓰인 ‘넵’ 메시지가 가득하다. 
인스타그램 캡처
인스타그램 캡처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