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팀, 골다공증 골절 관여 유전자 발견

다국적팀, 골다공증 골절 관여 유전자 발견

입력 2012-04-30 00:00
업데이트 2012-04-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인별 맞춤치료 전기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유전자 연구팀이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골다공증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병원 내분비내과 이승훈 교수팀이 유럽과 북미, 동아시아 등 50개국 연구진으로 구성된 골다공증에 대한 유전체 연구에 참여해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밝혀냄으로써 개인별 맞춤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 교수팀은 한국인의 골다공증과 골다공증 골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아내기 위해 이 병원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받은 환자 1400명의 골밀도를 포함한 임상 정보와 유전자 샘플을 이용했다. 이 연구는 전 세계 21만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됐고, 골밀도와 관련된 ‘WNT16’, ‘CTNNB1’, ‘SOST’ 등 56개 유전자 변이, 골절과 관계된 ‘SPTBN1’, ‘MEPE’ 등 14개의 유전자 변이를 새로 발굴했다.

이승훈 교수는 “새로 밝혀진 유전자들은 골 대사와 관련된 새로운 신호전달 체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골다공증 치료제의 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4-30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