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고혈압 환자는 뇌동맥류 파열위험 높아

[Weekly Health Issue] 고혈압 환자는 뇌동맥류 파열위험 높아

입력 2012-12-10 00:00
업데이트 2012-12-10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지숙(62)씨는 고혈압 때문에 10여년 전부터 약을 복용하고 있었지만 특별히 다른 문제는 없었고, 건강도 괜찮았다. 그러다 최근 극심한 두통에 복시현상까지 나타나자 놀라 병원을 찾았다. 서둘러 CT검사를 해보니 기저동맥 말단부에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뇌혈관 조영술을 시도한 결과, 비파열성 뇌동맥류로 확인됐다. 환자는 기대 여명이 20년이 넘을 만큼 건강하게 생활하고 있었지만 혈관은 달랐다. 검사 결과 뇌동맥류가 출혈 위험이 높은 기저동맥 말단부에 생겼고, 크기도 1㎝가 넘었다. 여기에다 고혈압까지 있어 파열 위험이 높다고 의료진은 판단했다.

의료진은 부위가 기저동맥 말단부인 탓에 클립결찰술은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다고 보고 혈관내 코일색전술을 시도하기로 결정했다. 코일색전술은 전신마취 후 2시간에 걸쳐 시행됐다. 동맥류의 목이 너무 넓어 스텐트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색전술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백 교수는 “이 환자처럼 평소 건강하게 생활해 기대여명이 긴 환자의 경우 비파열성 동맥류의 치료는 파열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환자는 고혈압이 있어 지속적으로 동맥류에 혈액학적 스트레스가 가해질 위험성이 높은 상태였다.”고 전했다. 백 교수는 “동반 질환 및 동맥류의 위치나 크기로 봐서 동맥류 파열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된 환자라면 전문의의 진료를 근거로 한 예방적 치료가 필수”라면서 “동맥류의 경우 재발과 새로운 동맥류의 발생 위험성을 염두에 두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12-10 24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