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목디스크 예방하려면

[Weekly Health Issue] 목디스크 예방하려면

입력 2012-12-17 00:00
업데이트 2012-12-1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파·방바닥에 누워 TV보지 말고 컴퓨터 모니터 높이 시선 10도 아래로

목디스크는 대부분 나쁜 습관이 원인이다. 가장 경계해야 할 습관은 소파나 방바닥에 누워서 TV를 보는 것. 이 경우 불가피하게 목을 꺾게 돼 목뼈와 목 주변 근육에 큰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갑자기 목을 못 돌리는 환자 3명 중 2명은 평소에 누워서 TV를 보는 습관을 갖고 있다.

사무 환경도 바꿀 필요가 있다. 컴퓨터 모니터를 책상의 정면 대신 왼쪽이나 오른쪽에 치우쳐 배치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항상 목의 한쪽만 긴장시킬 뿐 아니라 목과 어깨 주변의 근육까지 불필요하게 자극해 돌발적인 운동 장애를 유발하기 쉽다. 불가피하다면 모니터 위치를 일주일마다 왼쪽, 오른쪽으로 바꿔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 컴퓨터 작업을 할 때 허리를 펴고 턱을 가슴 쪽으로 당겨 반듯한 자세를 취하며, 모니터 높이도 시선이 10∼15도 정도 내려다 볼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틈틈이 목을 가볍게 돌리는 스트레칭만 해줘도 목 근육 긴장 해소에 도움이 된다.

배게 높이도 중요하다. 고개가 들리거나 가슴 쪽으로 목이 꺾이지 않고, 머리가 가슴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낮은 베개를 사용하는 게 좋다. 반듯이 누운 자세가 척추에 가장 부담이 적지만, 부득이 하게 옆으로 잘 때는 머리와 목, 척추가 일직선이 되도록 베개 높이를 높여줘야 한다. 엎드린 수면자세는 머리와 목이 젖혀져 목디스크에 취약하며, 배가 눌려 허리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김우경 교수는 스마트폰 과사용도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화면이 작아 불가피하게 고개를 숙인 자세로 하게 되는 스마트폰이 습관화되면 목의 피로와 긴장이 누적돼 쉽게 목디스크에 걸린다.”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도 바른 자세를 취해야 하며, 이용 시간을 스스로 조절해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혈액순환 장애를 초래해 추간판이나 척추체의 영양 공급과 순환에 지장을 주는 것은 물론 척추수술 후 재활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는 담배는 반드시 끊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12-17 24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