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게 약]

[아는게 약]

입력 2014-07-21 00:00
업데이트 2014-07-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천식환자 소염·진통 파스 발작 위험

파스는 약을 복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붙이기 전에 꼭 성분을 확인해야 합니다. 소염·진통 파스에는 천식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천식환자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또 파스의 케토프로펜 성분은 빛과 반응해 알레르기 등 광과민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케토프로펜 파스를 붙였던 부위가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하게 바르거나 옷으로 가려주세요. 온열감을 주는 파스를 붙이고 나서 전기담요 등을 덮으면 화상의 위험이 있어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아무 곳에나 파스를 붙여서도 안 됩니다. 상처 난 부위나 피부질환이 있는 부위는 피해 주세요. 천식 등 지병이 있거나 약·화장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피부가 쉽게 짓무르는 사람은 파스를 붙이기 전에 약사와 먼저 상의하는 게 좋습니다. 파스를 붙였던 부위는 피부가 약해져 있어 또 파스를 붙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파스를 뗄 때도 부착부위 바로 옆 피부를 한 손으로 누르고 다른 손으로 천천히 떼어내야 합니다. 확 잡아떼면 피부에 상처가 날 수 있습니다. 파스 붙인 부위를 물에 불린 후 떼면 덜 아픕니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07-21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