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22> 백비탕·생숙탕·옥수수차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22> 백비탕·생숙탕·옥수수차

입력 2014-08-25 00:00
업데이트 2014-08-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드럽고 티가 없는 피부를 아기 피부라고 한다. 아기들의 피부가 그토록 부드러운 이유는 몸의 80%가 수분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수분은 우리 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고전에는 우리 선조들이 물에 얼마나 관심이 많았는지를 보여 주는 일화들이 있다. 동의보감은 건강에 좋은 물의 종류에 대해 수십 가지를 기록해 놓았고, 늘 지병이 있었던 조선시대 왕 선조도 ‘백비탕’이라는 물을 오래 마셨다고 한다. 백비탕은 말 그대로 물을 끓이고 식히는 것을 백 번이나 반복해 만든 물로, 양기를 돕고 경락을 잘 소통시켜 준다고 한다.

‘생숙탕’ 역시 선조들이 즐겨 마시고 치료에도 이용했던 물이다. 생숙탕은 일명 ‘음양탕’이라고도 하며 맹물을 끊인 후 여기에 냉수를 5대5 비율로 섞어 만든 물이다. 동의보감에는 생숙탕에 대해 “특히 여름철에 마셔 주면 배가 아프고 토하는 것과 설사가 낫는다”고 소개하고 있다. 생숙탕을 만들 때 중요한 점은 반드시 물을 먼저 끓이고 거기에 같은 분량만큼의 찬물을 섞어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에서도 여름철에는 몸에 좋은 물을 챙겨 마신다. 주로 많이 마시는 것이 옥수수차다. 살짝 볶은 마른 옥수수를 끓여 만드는데 옥수수의 당질, 단백질, 기름, 카로틴, 비타민이 몸을 건강하게 한다. 특히 옥수수 속 카로틴과 비타민은 발암성 물질의 활성화를 막고 마그네슘은 암세포를 억제한다. 옥수수차는 이뇨 작용도 하기 때문에 소변을 못 봐 몸이 무겁고 붓는 사람에게 좋다.

이 밖에도 북한에서는 음식을 잘 못 먹고 체했을 때 미나리나 당근을 끓여 그 물을 마신다. 해독 효과가 있는 미나리 끓인 물을 자주 마시면 여름철 음식물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당근 끓인 물은 각종 비타민을 보충하고 면역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다.

2014-08-25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