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환자는 추석연휴에 과식 안해야

고혈압·당뇨환자는 추석연휴에 과식 안해야

입력 2014-09-07 00:00
업데이트 2014-09-07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성질환자가 ‘추석 음식’ 즐기는 요령

추석 차례상에 음식은 보기만 해도 입맛을 돌게 하지만, 만성질환자들은 이런 음식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특히 명절음식에 주의해야 할 질환은 당뇨병과 고혈압, 심장질환, 신장질환, 간질환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질환이 고지방, 고열량 음식과 관련성이 크기 때문이다.

문제는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을 잘 실천하던 사람들도 명절을 지나면서 리듬을 잃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이중에서도 당뇨환자는 명절 기간에 당 섭취를 철저히 절제해야 한다. 과일의 1회 적정 섭취량은 50㎉로 사과나 배 ⅓쪽, 귤 1개 정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배탈, 설사도 조심해야 한다. 심한 설사와 탈수로 인한 저혈당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과식도 주의해야 한다. 과식은 위에 무리를 줘 소화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추석 음식들은 기름에 볶거나 구운 게 많기 때문에 위의 소화 능력을 떨어뜨린다.

명절 음식은 대부분 고지방, 고단백, 고열량식이어서 자칫 과도한 영양 섭취로 몸의 균형을 깨뜨리기 쉽다. 만둣국은 470∼600㎉, 잡채는 150∼230㎉, 갈비찜 한 토막은 100~140㎉, 전 1쪽은 110㎉, 식혜는 120㎉의 열량을 각각 갖고 있다. 또 기름을 넣어 조리한 나물 1인분도 140㎉나 된다.

성인 남성의 하루 권장 열량이 2천400∼2천500㎉, 여성은 1천800∼2천㎉인 점을 감안하면 적정 열량을 지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는 과식하면 염분 섭취가 늘어나 증상이 더 악화할 수 있다. 단맛 나는 식혜, 밥이나 떡처럼 탄수화물이 다량 함유된 음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고기류 등은 특별히 신경을 써서 먹어야 한다.

협심증이나 심부전, 역류성 식도염, 심한 간경화, 만성폐질환, 통풍 환자 등도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약 과음이나 과식으로 배탈이 나거나 구토를 할 땐 기름기 있는 음식을 피하고 보리차나 꿀물 등을 마시거나 한두 끼는 죽을 먹는 게 좋다. 설사를 할 땐 탈수를 막기 위해 물이나 이온 음료를 충분히 마셔야 한다.

과식으로 급체했을 때는 위 운동을 강화하는 소화제가 효과적이지만 하루 정도 먹지 않고 위를 비우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재활의학과 송미연 교수는 “과식 예방을 위해서는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면서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주면 포만감이 찾아와 주전부리를 줄일 수 있고, 원활한 배설을 돕는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