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을 위한 행진곡’ 제외 논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외 논란

입력 2010-05-18 00:00
업데이트 2010-05-18 0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18 단체의 대표들이 5·18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했다.

5·18 관련 3개 단체(5·18구속부상자회, 부상자회, 유족회) 대표 3명은 18일 오전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정부 주관으로 열리는 기념식에 불참하겠다고 17일 밝혔다.

☞[5·18민주화운동 30주년] 관련기사 더 보러가기

☞[포토] “잊지 않겠습니다”…5·18 기념식 현장

불참자는 구속부상자회 양희승 회장, 부상자회 신경진 회장, 유족회 정수만 회장이다.

이들은 국가보훈처가 기념식에서 그동안 추모곡으로 사용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외하기로 한데 대해 항의하는 의미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이들 대표들을 제외한 유족과 단체 관계자들은 예정대로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보훈처는 공식행사 제창곡으로 쓰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식전 음악으로 사용한데다 5·18 단체 대표들이 돌아가면서 해오던 경과보고도 식순에서 빼고 동영상으로 대신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훈처는 이날 기념식에서 정운찬 국무총리 입장 시 흥겨운 경기민요인 ‘방아타령’을, 퇴장시에는 ‘금강산’을 연주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와 광주의 일부 시민사회단체도 같은 시각 인근 구(舊)묘역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개최하겠다고 밝혀 30주년 기념식의 의미가 퇴색하지않을 까 우려된다.

5·18부상자회 관계자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외는) 5·18 정신을 심각히 훼손하고 국민적 참여를 가로막는 행위로 즉각 철회돼야 한다.”라며 “보훈처는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를 오늘까지 답해주기로 했지만 아무런 답변이 없어 이같이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모두가 불참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해 유족 등은 참석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