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양승태, 증거인멸 우려…보석 시 엄격한 조건 달아야”

검찰 “양승태, 증거인멸 우려…보석 시 엄격한 조건 달아야”

입력 2019-07-17 11:25
업데이트 2019-07-17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승태 측 “구속 기간 얼마 남지 않아…보석, 부적절”

재판부, 직권 결정하기로…‘주거 제한’ 등 조건 붙여 보석할 듯
이미지 확대
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구속 촉구 기자회견
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구속 촉구 기자회견 민중당 당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재구속을 위해 검찰의 추가 기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9.7.17 연합뉴스
검찰이 양승태 전 대법원장에게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며 보석으로 풀어줄 경우 외부 접견 금지 등 강도 높은 조건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17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박남천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양 전 대법원장 등의 속행 공판에서 “피고인의 증거인멸 우려가 심화한 만큼 석방하더라도 엄격한 보석 조건을 부과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재판부는 12일 공판에서 양 전 대법원장의 구속 만기인 내달 11일 0시까지 재판을 마무리 짓기 어렵다면서 구속 기간 만료 전에 직권으로 석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비쳤다. 양 전 대법원장이 구속 만기로 풀려날 경우 ‘조건 없는’ 자유의 몸이 되지만, 직권으로 보석을 하면 재판부가 이명박 전 대통령 사례와 같이 여러 조건을 붙일 수 있다.

검찰은 재판부가 양 전 대법원장을 직권으로 석방할 경우 ▲ 주거지 제한 ▲ 보증금 ▲ 법원 허가 없는 해외 출국 금지 ▲ 가족·변호인을 제외한 외부인 접촉 금지 등의 조건을 붙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호인을 통해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도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검찰은 또 “구속 만기까지 20여일이 남은 이 시점에서 보석을 판단하기보다, 핵심 증인에 대한 신문을 마무리하고 보석을 허가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을 냈다. 석방을 하더라도 최대한 늦게 풀어줘야 한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보석을 허가한 뒤에는 재판 기일을 현재의 주 2회에서 주 3회로 늘려 현직 판사 등의 증인신문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양 전 대법원장 측은 “구속 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보석을 결정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반발했다. 주거지 제한 등 각종 조건이 붙은 ‘조기 석방’보다는 20여일을 더 구치소에서 보내고 구속 만기로 풀려나는 게 이롭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변호인은 검찰이 주장하는 증거인멸 우려에 대해서도 “무리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양측에 추가 의견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뒤 “보석 심문 기일은 별도로 정하지 않고 (직권 보석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