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발, 머리에 쓰는 옷’ 역발상 개발부터 영업까지 들이대라

‘가발, 머리에 쓰는 옷’ 역발상 개발부터 영업까지 들이대라

입력 2013-07-09 00:00
업데이트 2013-07-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부서 CEO 변신한 김영휴 대표의 성공 노하우

서른여덟 살 애가 둘 딸린 12년차 전업주부, 가족 반대를 무릅쓴 1인 창업, 창업 아이템으로 사양산업인 가발 선택, 제품개발부터 영업까지 나홀로 개척….

김영휴 씨크릿우먼 대표
김영휴 씨크릿우먼 대표


‘가발 대신 헤어웨어’라는 모토를 내걸고 창업한 김영휴(51) 씨크릿우먼 대표의 13년 전 모습이다. 정수리 헤어스타일을 풍성하게 보이는 부분가발 제조사인 씨크릿우먼은 지난해 매출 93억원을 달성했다. 가발 관련 특허를 60개 이상 확보했고, 백화점 매장 30곳에 입점한 제품은 ‘명품’으로 등극했다. 김 대표는 지난 5월 15일 발명의날에 산업포장을 받았다.

“그래도 청년들에겐 창업자금 지원과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는 기회, 저와 같은 멘토가 함께합니다. 체계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지금 창업하세요.”

지난 5일 부산 벡스코에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로 열린 대학생 과학기술동아리 창업워크숍 멘토로 나선 김 대표는 “창업을 한 뒤 ‘들이대’에서 ‘M&H학 박사’가 된다는 마음으로 사업을 하라”며 대학생들을 독려했다. 가수 김흥국의 유행어이기도 한 ‘들이대’는 어디든 먼저 찾아가서 제품을 홍보하겠다는 마음가짐이고, ‘M&H’란 ‘맨땅에 헤딩’의 줄임말로 돈·인력 부족을 탓하기 전에 먼저 시도해보는 태도란다. 김 대표는 “20대에 창업해서 겪는 좌충우돌은 인생의 노하우가 될 것”이라면서 “스스로 들이대고 스스로 터득하라”고 했다.

김 대표는 ▲걸림돌의 디딤돌화 ▲기존 사업과의 차별화 전략 ▲소비자를 위한 브랜드화를 ‘맨땅에 헤딩해도 골을 넣을 3가지 전략’으로 소개했다. 디딤돌화는 ‘사회생활을 안 해본 주부가 자금도 없이 사업을 한다’던 비판에 대한, 차별화 전략은 ‘한물 간 가발에 손을 댔다’는 비아냥에 대한, ‘브랜드화’는 ‘기존 제품에 비해 가발 같지도 않은 제품’이란 편견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됐다.

김 대표는 “경험없는 주부라는 비판에 맞서 직원이 할 일까지 피하지 않고 모두 배웠고, 머리가 빠지면 쓰는 게 가발이란 기존 생각을 넘어 가발을 ‘시선권력’을 갖기 위해 머리에 쓰는 옷으로 생각하고 접근했다”면서 “접근법이 다르니 과거의 가발과는 전혀 다른 제품이 나왔고, 덕분에 특허를 내고 브랜드화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부산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7-09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