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990홈런·방어율 4.58… 타고투저

[프로야구]990홈런·방어율 4.58… 타고투저

입력 2010-09-27 00:00
업데이트 2010-09-27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로야구 2010정규시즌 결산

2010시즌에도 야구는 뜨거웠다. 시즌 막판까지 SK-삼성이 선두경쟁을 벌였다. 롯데 이대호와 한화 류현진은 투타에서 독보적이었다. LG 이대형과 롯데 김주찬은 시즌 마지막 경기까지 달리고 훔쳤다. 역대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웠다. 삼성 양준혁, 한화 구대성 등 ‘레전드’들이 그라운드를 떠났다. 기록도 쏟아졌다. 연속 경기 홈런과 퀄리티스타트 기록이 나왔다. 한 경기 최다안타-출루-타점 기록도 세워졌다. 역대 어느 시즌보다 다양하고 풍성했다. 정규시즌을 결산해 보자.

이미지 확대
●퇴장 10번중 8번 스트라이크 불만

올 시즌 스트라이크존을 홈플레이트 좌우 공 반개씩 늘렸다. 타고투저 완화를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별 소용이 없었다. 올 시즌 홈런 수는 990개였다. 지난 시즌 1155개에는 못 미친다. 그래도 2008시즌 646개보다는 50% 이상 많이 쳤다. 리그 시즌 타율도 .270이었다. 역대 3위다. 리그 평균 방어율은 4.58을 기록했다. 기록적인 타고투저 시즌이던 1999~2001시즌과 큰 차이가 없다.

8개 구단 가운데 선발 로테이션이 제대로 돌아가는 팀이 없었다. 개막을 10일 정도 당기면서 투수들 컨디션 조절에 문제가 있었다.

시즌 초반 유난히 추웠다. 부진과 부상이 이어졌다. 들쭉날쭉한 스트라이크 판정으로 심판의 권위만 흠집났다. 확대됐던 스트라이크존은 어느 순간 원상복귀됐다. 올 시즌 퇴장은 10차례. 이 가운데 8차례가 스트라이크 판정 불만 때문이었다.

●올시즌 진기록 봇물

올 시즌 유난히 진기록이 많았다. 이대호는 8월4일 잠실 두산전부터 14일 광주 KIA전까지 매 경기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9경기 연속 홈런 기록. 미국 메이저리그 기록(8경기)을 뛰어넘었다. 종전 리그 기록은 이승엽 등이 작성한 6경기 연속 홈런이었다. 이대호는 도루를 뺀 타율(.364)-홈런(44)-타점(133)-득점(99)-장타율(.667)-출루율(.444) 7개 부문을 휩쓸었다.

류현진은 3월30일 대전 롯데전부터 8월17일 잠실 LG전까지 23경기 연속 퀄리티스타트(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를 기록했다. 비공인 세계기록이다. 5월11일 LG전에선 삼진 17개를 잡아 한 경기 최다 탈삼진 기록을 세웠다. KIA는 7월29일 사직 롯데전에서 한 이닝에 1~4점 홈런을 골고루 때렸다. 역대 최다인 592만 8626명의 관중이 야구장을 찾았다.

●구대성·양준혁 등 전설들 떠나

유독 많은 슈퍼스타가 그라운드를 떠났다. 한화 구대성은 3일 대전 삼성전에서 마지막 공을 뿌렸다. 13시즌 동안 선발과 구원을 오가던 ‘대성불패’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푸른 피의 전설’ 양준혁도 그라운드를 떠났다. 마지막 타석에서 언제나처럼 1루를 향해 죽을 힘을 다해 뛰었다. SK 김재현도 올 시즌 한국시리즈가 끝나면 현역에서 은퇴한다.

15시즌 동안 KIA(해태 시절 포함) 2루를 지켰던 김종국도, 같은 해 입단해 수년 동안 3할 톱타자로 활약한 한화 이영우도 선수생활을 마감했다. 39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던 LG 박종호는 26일 은퇴식을 치렀다. 1990년대 중반부터 10년 이상 그라운드를 호령하던 세대가 이제 떠난다. 그라운드는 떠나는 자와 남는 자가 교차하는 자리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9-27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