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배구] 조직력 있기에… ‘꼴찌의 반란’

[프로배구] 조직력 있기에… ‘꼴찌의 반란’

입력 2010-12-11 00:00
업데이트 2010-12-11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男 상무신협 삼성화재 격침… 女 도로공사 2연승

이변이 없으면 스포츠가 아니다. 이변은 강자에게 부당하게 짓밟혀도 한마디 못하는 서민들을 열광하게 한다. 개막 1주일째인 NH농협 2010~11 프로배구 V-리그가 흥미진진한 이유이기도 하다.

지난 시즌 남녀 ‘꼴찌’ 상무신협과 도로공사가 그 이변의 주인공이다. 두팀은 나란히 성남을 연고지로 한다. 상무신협에는 주득점원인 외국인 선수가, 도로공사에는 스타급 선수가 없다. 그런데 상무신협은 ‘디펜딩챔피언’ 삼성화재를 꺾었고, 도로공사는 쾌조의 2연승으로 올 시즌 프로배구 순위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두팀의 이변이 더욱 반가운 이유는 배구의 본질에 충실한 플레이를 주무기로 내세워서다. 바로 조직력이다.

배구는 팀이 하는 경기다. 제아무리 출중한 스타플레이어가 있어도 서브, 리시브, 토스, 스파이크, 블로킹, 디그 등 모든 플레이를 혼자서는 할 수 없다. 또 공격이 성공하면 수비를 해야 한다. 공격이 100% 성공해도 수비를 못하면 비길 수는 있어도 이길 수는 없는 게 배구다. 그런데 프로 출범 뒤 한국배구는 이 같은 본질에서 멀어져 왔다. 힘과 높이에서 월등한 외국인 선수와 화려한 공격을 펼치는 스타플레이어에만 시선을 고정시켰다. 그리고 각 팀은 오프시즌에만 온 힘을 쏟았다. 그러한 때 상무신협과 도로공사는 굵은 땀방울을 코트에 쏟고 있었다. 그리고 이변의 주인공이 됐다.

상무신협 최삼환 감독은 “훈련량이 많아야 콤비플레이를 할 수 있다. 선수들이 3개월 동안 쉬지도 못하고 고생했다.”고 했다. 군인 신분이라 상무신협 선수들은 3개월 동안 부대에서 밥 먹고 배구만 했다는 뜻이다. 그렇게 다져낸 조직력으로 삼성화재의 외국인 주포 가빈 슈미트를 막아내고 승리한 것이다.

도로공사 어창선 감독도 “팀에 대형선수가 없어 조직력의 배구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리시브 등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했다. 국가대표급 선수가 없다 보니, 오프시즌에 훈련만 했다.

두팀의 ‘유쾌한 반란’이 어디까지 이어질까. 두팀이 앞으로 강팀들과의 맞대결에서 연승을 거둬도 놀랄 이유는 없다. 그게 배구고, 스포츠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0-12-11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