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亞 핸드볼 챔프 씁쓸한 귀국길

[스포츠 돋보기] 亞 핸드볼 챔프 씁쓸한 귀국길

입력 2012-02-09 00:00
업데이트 2012-02-09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다의 감동’이었다. 교민들은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민국”을 외쳤고, 그곳에서 태어나 한핏줄 의식이 엷던 한국인 꼬마들은 더러 눈물도 흘렸다. 제다(사우디아라비아) 총영사는 선수단을 초대해 파티도 열었다. 뿌듯하고 보람찬 국제대회였다. 그 기운을 받아 아시아선수권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남자핸드볼 국가대표팀의 귀국길은 씁쓸했다. 하필 런던올림픽 아시아 최종예선 경기를 마친 축구대표팀과 같은 비행기에 몸을 실은 게 화근(?)이었다. 최석재 감독은 처음 그 소식에 덜컥 겁이 났다고. “축구팀이 비즈니스석을 타면 어쩌나 염려했다. (이코노미를 타는) 우리 선수들이 위축될까 봐 걱정했다.”고 했다. 박탈감과 위화감을 느낄까 봐 마음 졸였다는 것. 다행히(?) 축구팀은 이회택 단장과 홍명보 감독만 비즈니스석에 앉았다. 23세 이하(U23) 올림픽대표라 이코노미석을 탔단다. 남자들끼리 굳이 살가울 일도 없었고, 서로를 의식하기만 한 채 9시간의 비행이 끝났다.

지난 7일 오후 인천공항에 도착한 뒤 명암이 갈렸다. 축구팀이 앞장서 게이트를 나갔고, 앞에는 엄청난 취재진이 기다리고 있었다. 1시간 40분 전 최강희 축구대표팀 감독이 입국했던 터라 취재 열기는 더 뜨거웠다.

홍명보 감독과 김보경이 인터뷰에 열중한 틈을 타 핸드볼 대표팀은 조용히 입국장을 빠져나왔다. 대한핸드볼협회가 준비한 꽃다발을 받고 ‘아시아선수권 3연패’ 플래카드 앞에서 사진 촬영한 게 전부였다. 누구도 입을 열지 못했다. 하지만 마음이 한없이 쓰라린 건, 사람이니까 어쩔 수 없었다.

플레잉코치 윤경신은 “언제나 있었던 일이다. 우리는 우승하고 왔으니까 너그러운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웃어넘겼다. 최 감독과 마찬가지로 어린 선수들이 마음 상했을까 걱정했다. “많은 카메라와 취재진이 왔으면 좋았겠지만, 현실이 이러니까 더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 올림픽 성적으로 증명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했다.

공항을 나온 선수들은 쌈밥으로 뒤늦은 저녁식사를 마치고 태릉선수촌에서 해산했다.최 감독은 “불쌍해 보이는 걸로 호소하기는 싫다. 런던올림픽을 향해 우리 갈 길을 가겠다.”고 말했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2-02-0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