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브라질월드컵 최종예선] 최강 스타일, 원톱 스타일, 동국 스타일

[2014년 브라질월드컵 최종예선] 최강 스타일, 원톱 스타일, 동국 스타일

입력 2012-09-11 00:00
업데이트 2012-09-11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일밤 10시 월드컵대표팀 우즈베크전

냉정히 말하면 둘은 공존할 수 없다. 이동국(33·전북)과 박주영(27·셀타 비고) 얘기다. 색깔이 튈 뿐더러 맛도 다르다. 둘 중 하나만 뛰면 나름대로 풍미가 살아나지만 둘이 함께 뛰면 이 맛도 저 맛도 아니게 된다. 둘은 ‘하늘 아래 원톱은 단 하나’란 말을 절감하게 한다.

●최강희 감독 “원톱-미드필더 조화 중시”

11일 밤 10시.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의 파크타코르 센트럴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우즈베키스탄과의 2014년 브라질월드컵 최종예선 3차전은 이동국과 박주영이 얼마나 최강희호의 ‘요리’에 녹아드는지 가늠해 보는 경기다. 물론 승리가 전제돼야 한다.

우즈베크전은 8회 연속 월드컵 본선 티켓을 따는 데 있어 가장 큰 고빗사위다. 최 감독의 말을 빌리면 ‘분수령’이다. 상대 전력도 전력이거니와 홈과 원정을 오간 지난 두 차례 경기에서 승점 6을 따낸 터라 우즈베크전 승패에 따라 비단길이 될지, 진창길이 될지가 갈린다.

둘은 왜 섞일 수 없을까. 최 감독은 원톱 포메이션 신봉자다.

지난달 29일 대표팀 명단을 발표한 자리에서 “현대 축구는 스트라이커 한 사람을 전방에 내세우고 배후에 다른 선수들을 배치하는 형식”이라며 “가장 중요한 건 미드필더와의 조화”라고 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기본적으로 투톱을 세우는 건 현대 축구가 아니고, 이동국과 박주영 둘 다 전방에 세우더라도 공격적인 성향은 강해지겠지만 미드필더와의 유기적인 플레이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그래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박주영 경기 감각 떨어진다 판단한 듯

그래서 최 감독은 일단 이동국의 손을 들어줬다. 그를 중심으로 선발 공격진을 구성하고 박주영은 ‘조커’로 분류했다. 그는 “이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박주영의 경기 감각이 다소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둘 모두에게 ‘주인공’의 기회를 주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박주영은 이동국의 체력이 떨어진 후반 중반쯤 투입돼 ‘척탄병’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박주영은 다소 섭섭할밖에. 우즈베크는 익숙하면서도 자신 있는 상대이기 때문이다. 2005년 독일월드컵 예선 때 타슈켄트에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데뷔골까지 뽑아낸 뒤 A매치 58경기에서 23골을 올렸다.

●둘다 우즈베크전 강해 결과 주목

이동국도 할 말이 많다. 지난 2월 쿠웨이트와의 3차 예선을 사흘 앞둔 전주 평가전에서 그는 우즈베크의 골망을 2차례나 출렁였다. 세르베르 제파로프, 알렉산더 게인리흐, 티무르 카파제 등 K리그 무대를 경험한 선수가 셋이나 있는 우즈베크에 둘 중 누구의 발끝이 더 빛날지 주목된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2-09-11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