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오픈테니스-머리, 메이저 대회 첫 우승

US오픈테니스-머리, 메이저 대회 첫 우승

입력 2012-09-11 00:00
업데이트 2012-09-11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앤디 머리(4위·영국)가 US오픈 테니스대회(총상금 2천552만6천달러·약 288억원) 남자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머리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플러싱메도의 빌리진 킹 국립 테니스센터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단식 결승에서 지난해 우승자 노바크 조코비치(2위·세르비아)를 3-2(7-6<10> 7-5 2-6 3-6 6-2)로 물리쳤다.

영국 선수가 메이저대회 남자단식 정상에 오른 것은 1936년 이 대회 프레드 페리 이후 76년 만이다.

또 머리는 지금까지 네 차례 메이저대회 단식 결승에서 내리 패하다 ‘4전5기’에 성공하며 우승 상금 190만달러(약 21억4천600만원)를 획득했다. 런던올림픽 단식 금메달에 이어 다시 한 번 세계 정상을 호령했다.

이 대회 남자단식 결승 사상 두 번째로 오래 걸린 경기였다. 무려 4시간54분이 걸린 이날 경기는 1세트부터 US오픈 남자단식 결승전 타이브레이크 기록을 깨는 혈투가 벌어졌다.

1세트에서 두 선수가 벌인 타이브레이크 점수 22점은 종전 기록 20점을 뛰어넘었다. 이전에는 1976년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리, 1987년 이반 렌들과 매츠 빌란더의 결승에서 나온 11-9가 US오픈 남자단식 결승에서 나온 최장 타이브레이크 기록이었다.

또 1세트 게임스코어 4-2로 머리가 앞선 상황에서는 무려 54차례나 랠리가 이어지는 ‘진기명기’감 장면이 나왔고 30여 차례 랠리도 여러 번 있었다.

타이브레이크만 24분이 걸리는 등 1세트가 무려 1시간27분이나 이어졌다. 웬만한 여자부 경기가 끝날 정도의 시간이다.

접전 끝에 1세트를 선취한 머리는 2세트에서도 기세를 올려 게임스코어 4-0까지 달아났다.

조코비치의 저력도 만만치 않았다. 그대로 2세트를 내주는 듯했던 조코비치는 이후 머리의 서브 게임을 브레이크하며 추격에 나서 기어이 게임스코어 5-5, 동점을 만들어냈다.

머리가 자신의 서브 게임을 지켜 6-5로 다시 달아난 상황에서 조코비치는 서브 게임을 뺏겨 추격에 제동이 걸렸다. 마음먹고 때린 스매싱이 두 번이나 라인 밖으로 나가는 바람에 세트스코어 0-2로 끌려갔다.

그러나 2세트에서 불이 붙은 조코비치의 상승세가 3,4세트에도 그대로 이어지며 승부는 세트스코어 2-2, 원점으로 돌아갔다.

허망한 역전패의 분위기가 감돌 무렵, 이번에는 머리가 힘을 냈다. 머리는 5세트 조코비치의 첫 서브게임을 브레이크하며 반격의 발판을 마련했고 여세를 몰아 게임스코어 3-0까지 달아났다.

조코비치는 이번에도 다시 두 게임을 연달아 따내 3-2으로 따라붙었으나 거기까지였다. 머리는 이어진 자신의 서브게임에서 조코비치에 한 포인트도 내주지 않고 4-2를 만들었고 이때부터 조코비치는 다리 근육에 무리가 온 듯 움직임이 눈에 띄게 둔해졌다.

머리는 조코비치의 서브게임까지 따내 5-2로 달아났고 조코비치는 잠시 메디컬 타임을 요청, 다리 마사지를 받으며 분위기를 바꾸려 마지막 안간힘을 썼다.

그러나 이미 넘어간 승부의 무게 추는 다시 균형점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머리는 자신의 서브 게임 40-15로 앞선 상황에서 조코비치의 포어핸드 리턴이 끝줄 밖으로 나가자 양손으로 얼굴을 감싸쥐며 기쁨을 만끽했다.

사상 처음으로 같은 해 올림픽과 US오픈을 석권한 남자 선수가 된 머리는 이번 주 세계 랭킹에서도 라파엘 나달(스페인)을 밀어내고 3위로 한 계단 오르게 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