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경기조작’ 프로농구 신뢰 회복만이 살 길

[스포츠 돋보기] ‘경기조작’ 프로농구 신뢰 회복만이 살 길

입력 2012-11-07 00:00
업데이트 2012-11-0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농구의 양대 축을 형성하는 프로농구연맹(KBL)과 대한농구협회가 나란히 심판의 ‘경기 조작’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대한농구협회는 최근 심판과 각 팀 지도자 간 금품 수수 때문에 73명이 경찰에 입건되고 심판위원장 정모씨와 심판 간사 김모씨가 6일 구속되는 등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KBL도 소속 심판이 2007년 특정 구단으로부터 “잘 봐 달라.”는 청탁과 함께 현금 200만원과 노트북 1대 등 300만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비록 5년 전 일이지만 “정말 그때뿐이었겠느냐.”는 팬들의 의심 어린 눈초리가 매섭다. 자칫 한국 농구가 신뢰를 잃고 존립 근거 자체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일이다.

사실 농구는 특성상 심판의 재량에 의해 경기 흐름이 좌우되기 일쑤다. 그래서 코트 안팎에서는 “전혀 눈치채지 못하게 가장 중요한 고비 때 몇 번만 휘슬을 불어주면 승부가 바뀌는 건 손바닥 뒤집기보다 더 쉽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돈다. 지난해와 올해 연이어 축구·야구계를 뒤흔들었던 ‘경기 조작’의 망령이 농구계도 뒤덮은 셈이다. KBL은 이날 팬들에게 사과의 뜻을 밝히고 상시 감찰 체제 확립, 비리 접수처 신설, 부정 행위 적발 시 징계 수위를 높이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또 협회는 7일 이사회를 통해 입장을 정리하고 경찰이 마련한 ‘농구 심판·코치 등의 비리 근절을 위한 권고안’ 등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종걸 협회장 등 집행부 임기가 내년 2월까지인 탓에 얼마만큼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농구계는 팬들에게 무릎 꿇고 진정으로 사과해야 한다. 팬들이 “농구는 심판하고 짜고 하는 종목”이라고 손가락질해도 감수해야 한다. 농구가 ‘짜고 치는 종목’으로 팬들에게 각인될 때 어떤 결과가 오게 될지는 뻔하다. “어차피 짜고 하는 경기”라는 한 선수의 폭로 이후 지금 우리의 뇌리에서 잊힌 프로레슬링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일이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2-11-07 2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