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축제속에 눈물짓는 13살 중국 소년

[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축제속에 눈물짓는 13살 중국 소년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살 소년은 울고 있었다. 시커먼 얼굴에 더 시커먼 눈물이 흘렀다. 눈물에 콧물이 섞이고 다시 땟물이 더해졌다. 조용하고 서럽게 오래도록 울었다. 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앞이었다.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조별예선 마지막 경기가 열리던 지난 14일이었다. 경기장 안에선 함성이 요란했다. 강력조명 불빛은 화려했다. 그러나 소년은 운동장 길가에 하염없이 앉아 있었다. 들어갈 수가 없었다. 표를 구할 방법이 없었다.

☞ [포토] 코리안號 ‘종합 2위 목표’ 순항중

소년은 100위안(약 1만 7000원)을 가지고 있었다. 1년 가까이 모은 돈이라고 했다. 암표를 구하기엔 턱없이 모자라는 돈이란 걸 알고 있었다. 그래도 혹시 기회가 있을지 몰라 경기장까지 왔다. “꼭 직접 경기를 보고 싶었는데….” 소년은 말끝을 흐렸다. 아시안게임 축구 경기 입장권 가격은 20~30위안이다. 그러나 암표 가격은 1000위안을 훌쩍 넘어갔다. 경기 임박해선 이나마도 구하기 힘들었다. 암표상 가운데 누구도 매달리는 소년을 상대하지 않았다. “귀찮으니 저리 가라.”는 말뿐이었다.

소년의 이름은 왕진이라고 했다. 가족은 5년 전 광저우에 왔다. 허난성 구석 농촌 마을에 살았었다. 조그마한 땅에 농사짓고 돼지 몇 마리 키웠다. 돼지는 가족의 밥벌이 수단이었다. 일년에 한번 내다 팔아 근근이 생활했다. 그런데 돌림병이 돌았다. 원인도 모르고 대책도 없었다. 애지중지 키우던 돼지가 모두 죽었다. 넋이 나간 아버지는 “도시로 가자.”고 했다. 광저우로 왔고 도시 외곽에 자리를 잡았다. 전형적인 농민공(農民工)이다.

아버지는 막일을 찾았다. 공사가 많아 일거리는 끊이지 않았다. 어머니는 파출부 일을 했다. 무너져 가는 벽돌집이었지만 살 만했다. 그러나 아시안게임이 다가오면서 집에서 쫓겨났다. 집이 있던 자리엔 호텔과 큰 건물들이 들어섰다. 어쩔 수 없이 더 멀리 밀려났다. 삶은 고단하고 또 고단했다. 그걸 견디게 하는 힘은 축구와 하나 가진 낡은 공이었다.

집을 빼앗아 가버린 아시안게임이지만 그래도 들떴다. 모두가 중국 축구의 금메달 획득을 기대하고 있었다. 소년도 “이번에는 중국이 한국, 일본을 이길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래서 직접 보고 싶었다. 그나마 조별 예선 경기는 암표값이 싸지 않을까 했다.

그러나 희망은 부스러졌다. 소년이 울먹이던 그 시간에도 암표상들은 남은 표를 처리하고 있었다. 근처에 선 공안들은 “저리 가서 팔라.”고 무심히 손짓했다. 아시안게임은 42억 아시아인의 축제란다. 그러나 누군가에겐 아니다.

nada@seoul.co.kr
2010-11-1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