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SSA! 월드컵] 초당 500장 ‘찰칵’… ‘골인’ 오심 다 날릴까

[NOSSA! 월드컵] 초당 500장 ‘찰칵’… ‘골인’ 오심 다 날릴까

입력 2014-06-17 00:00
업데이트 2014-06-17 0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축구의 미래’ 비디오 판독

프랑스 공격수 카림 벤제마의 벼락같은 논스톱 슛이 오른쪽 골대를 맞고 왼쪽의 온두라스 골키퍼 노엘 바야다레스에게 향했다. 바야다레스는 중심을 잃고 허우적대다가 골라인 위에 뜬 공을 가까스로 쳐냈다. 공이 골라인을 통과했는지, 아닌지 맨눈으로 분간하기 어려웠다.

이미지 확대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이때 손목에 차고 있던 기계장치를 확인한 산드로 리치(브라질) 주심은 프랑스의 득점을 선언했다. 프랑스 팬은 기쁨의, 온두라스 팬은 야유의 함성을 내질렀다. 곧바로 경기장 내 전광판에 공이 골라인을 넘어가는 과정이 컴퓨터 그래픽으로 떠올랐다. 야유는 잦아들고 함성만 남았다.

국제축구연맹(FIFA)이 이번 브라질월드컵부터 정식 도입한 첨단 기술이 16일 포르투알레그리의 베이라히우 주경기장에서 열린 조별리그 E조 1차전 후반 3분 제 역할을 해냈다. FIFA는 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당 500장을 찍을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를 양쪽 골대에 7대씩 설치했다. 오차범위는 0.5㎝에 불과하다. 공이 골라인을 넘으면 심판이 손목에 찬 시계에 진동과 함께 ‘GOAL’이란 메시지가 뜬다. 비디오 판독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일까. 이번 대회 비디오 판독은 골라인 통과 여부에만 한정된다.

그러나 향후 오프사이드와 할리우드 액션에 대한 판정으로까지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은 지난 12일 상파울루 FIFA 총회에서 “골라인 판독 기술도 도입된 마당에 다른 것도 생각해 볼 여지가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승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오프사이드와 할리우드 액션에 대한 판정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을까. 적지 않은 진통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심판의 인간적 실수도 경기의 일부란 축구계 인사들의 보수적 시각 때문이다. ‘가장 인간적인 경기’란 자부심도 한몫한다. 느린 화면 분석이 경기 흐름을 끊을 수 있다는 우려와 애매한 플레이가 많아 비디오 판독을 하더라도 논란을 잠재우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비디오 판독 확대 여부는 축구경기의 규칙을 유지하고 개정하는 국제축구위원회(IFAB)의 의결을 통해 결정된다. IFAB는 잉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등 4개 축구협회 대표와 FIFA 대표 2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현행 규칙과 전통의 수호자로 여겨진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4-06-1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