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이 甲

입력 2014-07-15 00:00
업데이트 2014-07-15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막 내린 브라질 월드컵

4년마다 열리는 월드컵은 현대 축구의 전술적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무대다. 독일의 우승으로 끝난 브라질대회에서도 새로운 흐름이 형성됐다. 2010년 남아공대회에서 절정에 달했던 스페인의 패싱 게임, 이른바 ‘티키타카’가 강한 수비 조직력과 체력을 바탕으로 한 압박과 역습의 축구에 무너졌다. ‘토털 사커’의 재현이다.

스페인과 바르셀로나로 대표되는 티키타카는 패싱 게임과 높은 점유율, 포지션 무한 변경으로 월드컵과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등의 정상을 휩쓸며 현대 축구 전술의 전형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독일, 네덜란드, 칠레, 코스타리카 등 도전자들의 치밀한 연구와 준비로 결국 무너졌다.

도전자들은 티키타카의 장점인 높은 점유율과 패싱 능력을 흡수하고 강력한 수비 조직력, 강한 압박, 속도감 있는 역습을 보태 새 장르를 개척했다. 그러나 사실 돌고 돌아 다시 체력이 가장 중요한 전술적 요소로 자리 잡은 것이다. 많이 뛴 팀이 결국 이겼다.

독일은 경기당 120.9㎞를 뛰어 2위를 차지한 아르헨티나의 117.4㎞, 3위 네덜란드의 118㎞, 4위 브라질의 106.8㎞보다 월등히 앞섰다. 잘 뛰고 많이 뛰는 팀이 이긴다는 평범한 진리를 재확인한 것이다.

속공도 강조되고 확대됐다. 독일과 네덜란드,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등 강세를 보인 팀은 모두 상대로부터 공을 빼앗은 뒤 빠른 공격 전개로 슈팅 기회를 만드는 역습에 능했다.

한물간 수비 전술로 여겨지던 스리백도 다시 등장했다. 브라질을 꺾고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를 비롯해 아르헨티나와 코스타리카, 칠레 등도 이 포메이션으로 선전했다. 역시 강한 체력을 요구하는 스리백은 아메바처럼 때로는 포백 혹은 파이브백 등 변화무쌍한 수비 전술로 둔갑할 수 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7-15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