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부처 인력 900~1000명… 업무분담 신경전

5개 부처 인력 900~1000명… 업무분담 신경전

입력 2013-01-29 00:00
업데이트 2013-01-2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련 부처 반응

새 정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책은 물론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비롯한 연구·개발(R&D) 기능,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콘텐츠, 우정사업 등을 포괄하는 ‘매머드급’ 조직이 된다. 방송통신위원회 일부 조직과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등 미래부의 본부 기준 인력 규모는 900~1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관련 부처들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정부 조직개편 후속안 발표 이후 사업 수성과 예산에 골몰하고 있다. 주도권을 둘러싼 기싸움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28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당장 디지털콘텐츠 범위를 두고 방통위와 문화부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인수위는 디지털콘텐츠의 구체적인 업무 분담은 부처 간 실무 협조 과정에서 정하도록 했다. 게임과 방송프로그램의 디지털콘텐츠 포함 여부를 놓고 방통위는 이들 콘텐츠를 디지털콘텐츠로 받아들이는 반면 문화부는 문화콘텐츠라는 입장이다.

문화부는 3차원(3D) 기술사업, 스마트콘텐츠형 산업융합프로젝트 등 최소 13개 항목을 미래부에 넘겨야 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게임, 영상, 공연, 전시, 전자출판과 관련된 디지털 융·복합 사업 가운데 최소의 영역만 넘기기 위한 설득작업을 하고 있다.

방통위는 ICT 전담부처 신설은 불발됐지만 사실상 5년 전 정보통신부의 기능이 복원됐다는 점에서 반기고 있다. ICT 부서가 이관되면서 방통위는 대폭 축소되지만, 옛 정통부 출신들 중심으로 현재 방통위 위상보다 확대되는 것으로 해석한다. 옛 방송위원회 출신들도 방송 콘텐츠 진흥이 미래부로 넘어가는 만큼 굳이 미래부 행을 마다하지 않고 있다. 미래부에서 보직 변경 등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저변에 깔려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문화부의 디지털콘텐츠 업무가 이관되면 ICT 핵심인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CPND) 총괄이 가능해졌다”며 “ICT 생태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방통위가 주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

2013-01-29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