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이상 화력 10기 발전량 여름 피크 수요의 3.9%”

“30년 이상 화력 10기 발전량 여름 피크 수요의 3.9%”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7-05-15 22:58
업데이트 2017-05-16 0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친환경 6기로 충당 가능”

6월 한 달간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중단’(셧다운)에도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6월이 비수기인 만큼 당장 전력 수급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대로 석탄발전과 원자력발전 비중을 크게 줄여나갈 경우 전력수급 차질뿐 아니라 전기요금 인상도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5일 “30년 이상된 노후 석탄발전 10기의 발전량은 3.3GW로 지난해 여름철 전력피크 때 최대 전력수요(85GW)의 3.9%에 불과하다”면서 “지난해 7월 이후 새롭게 준공된 친환경 석탄발전 6기의 발전량(4GW)으로도 충당이 가능해 전력 수급에는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른 무더위로 전력 수급에 변수가 발생하더라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등으로 대체 전력의 가동률을 높이면 차질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 인해 전기요금이 소폭 올라갈 수 있지만 한국전력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한전 측은 “파격적인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에 맞춰야겠지만 장기적으로 석탄을 값비싼 연료인 LNG 등으로 대체한다면 가격 인상 압력이 발생한다”며 “특히 석탄발전 일시 중단에 따른 미세먼지 감축 효과도 어떻게 나타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석탄·원자력보다 상대적으로 발전 단가가 높은 LNG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데 따른 전기요금 인상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부원장은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지금이라도 정보를 공개하고 설득력 있게 공론화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해 7월 ‘석탄발전 미세먼지 대책’에서 10조원을 투자해 2025년까지 노후 석탄발전 10기를 폐기하고, 나머지 43기에 대해 성능 개선과 환경설비 전면 교체 등으로 오염 물질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선 공약에 맞춰 석탄발전 10기 모두 문 대통령 임기 내에 폐기하고, 폐기 시기도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5-16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