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값 2억2천만원 돌파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값 2억2천만원 돌파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9% 올라, 매매가는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뛰어

올해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이 3% 넘게 올라 평균 전세 값이 처음으로 2억2천만원대를 돌파했다.

반면에 매매가격 상승률은 수도권이 지방의 절반 수준에 그쳐 뚜렷한 양극화를 보였다.

전국에서 가장 아파트 값이 많이 오른 지역은 대구와 충북, 경북이다.

26일 KB국민은행이 부동산정보사이트(http://nland.kbstar.com)를 통해 발표한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시장 동향조사를 보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3.09%)은 인천제외 5개 광역시(1.70%) 및 기타지방(1.88%)을 능가했다.

이는 1년전(2.14%) 상승폭을 크게 웃돈 것이다.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억2천49만원으로 조사가 시작된 2011년 6월 이후 처음으로 2억2천만원대로 올라섰다.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비율)은 65.6%, 5개 광역시(부산·대구·대전·울산·광주)는 72.7%, 기타지방은 72.2%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은 “수도권의 경우 중소형 매물의 월세물량은 풍부하나 전세물량은 부족한 경우가 많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전세 선호현상이 확대돼 유통물량 부족속에 점진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65% 올라 소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상반기를 기준으로 아파트값이 상승한 것은 2011년(0.82%)이후 4년 만이다. 서울과 수도권의 지난해 아파트매매가격은 -1.28%, -1.40%였다.

지역별로는 인천(1.07%), 경기(0.76%), 서울(0.34%) 순이다.

반면에 지방에서는 아파트값이 크게 뛰었다.,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광역시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상반기 1.64%나 상승했다. 지난해 상반기 상승폭(0.97%)을 크게 웃돌았다.

광역시 가운데는 대구(4.00%), 광주(1.51%), 울산(1.44%) 등이 강세를 보였다. 2011~2012년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부산(0.50%)과 대전(0.25%)은 오름세가 주춤했다.

국민은행은 “대구는 공업 및 산업단지 활성화로 수요층 확산 및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고 광주와 울산은 급등하는 전세가격에 따라 매매전환수요가 발생하며 중소형 매물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광역시를 제외한 나머지 기타지방도 1.30% 올랐다.

도 단위에서는 경북 아파트값이 경산 및 구미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3.31%나 뛰었고 세종시의 후광효과를 입은 충북(3.48%), 충남(2.06%)도 소형매물 위주로 수요가 몰리며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북(-0.49%), 전남(-1.20%)은 지역경제 활성화 미비로 약세를 보였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임대소득 과세 완화방안’ 등의 법안이 구체화되면 관망세를 유지하던 매매 수요층의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