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 5개월째 둔화... 내년 고용 더 나빠진다

취업자 수 5개월째 둔화... 내년 고용 더 나빠진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11-09 16:19
업데이트 2022-11-09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10월 고용동향 발표
취업자 수 67.7만명 증가
증가폭은 5개월 연속 감소
내년 고용 상황 악화 우려

취업자 수 증가폭이 5개월째 둔화되며 고용 상황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정부도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올해는 고용이 호조를 보인 데 따른 기저효과로 내년 고용시장은 더욱 악화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최근 수출 증가세가 꺾이고, 고물가·고금리로 경기 둔화 압력이 커진 것이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1만 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7만 7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가세는 지난해 3월 이후 20개월째 이어지고 있지만 증가폭은 뚜렷하게 둔화하고 있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1월과 2월 100만명을 웃돌며 호조를 보였으나 5월 이후부터 10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하며 내리막길을 걸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가 46만명으로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67.9%에 달했다. 50대 14만 7000명, 30대 6만 1000명, 20대 이하 2만 1000명 순이었다. 40대는 인구 감소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1만 1000명 줄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 수가 20만 1000명 늘며 12개월째 증가세를 이어 갔다. 숙박·음식점업은 15만 3000명 늘어나며 같은 달 기준 2014년 15만 4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외부활동이 증가한 결과다. 기획재정부는 “제조업 상승세 지속, 숙박·음식업 상승폭 확대, 상용직 중심 취업자 수 증가는 긍정적이나 고령층 중심의 취업자 증가는 한계”라고 분석했다.

정부는 취업시장 상황이 내년에 더 나빠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황인웅 기재부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은 “기저효과 영향이 취업자 수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 고물가, 금리 인상, 수출 위축 등과 같은 하방 요인이 상존한다”면서 “내년은 경기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더 둔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취업자 수 증가폭이 8만 4000명으로, 올해 79만 1000명에서 대폭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