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긴장고조에 글로벌 자금 金·円 안전자산으로 피난

한반도 긴장고조에 글로벌 자금 金·円 안전자산으로 피난

입력 2017-08-09 16:35
업데이트 2017-08-09 16: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값 오르고 엔화 두 달 만에 최고…아시아 증시 동반하락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탑재용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는 소식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화염과 분노’를 언급하자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의 끈이 팽팽해졌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불안감 속에 금과 엔화 등 안전자산으로 앞다투어 몰렸고, 아시아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달러 대비 엔화 환율은 9일 오전 11시 8분(이하 한국시간) 달러당 109.74엔까지 하락했다. 엔화 환율이 내렸다는 것은 그만큼 엔화 가치가 올랐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엔화 가치는 지난 6월 16일 이후 가장 높아졌다.

금값도 들썩였다.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오전 한때 전날 종가보다 0.5% 상승한 온스당 1,267.33달러에 거래됐다.

안전자산이 오르는 사이 한국 원화는 무려 10.1원 오른 1,135.2원에 마감했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1% 안팎의 하락세를 보였다.

우선 한국 코스피가 1.10% 내린 2,368.39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1.35% 하락한 642.87이었다.

일본 도쿄증시의 닛케이평균주가 지수는 1.29% 떨어진 19,738.71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5월 31일 이후 최저 기록이다.

토픽스 지수도 1.07% 빠진 1,617.90에 거래를 마쳤다.

이외에도 대만 가권지수가 0.93% 내린 10,470.38에 장을 마쳤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북한 때문에 촉발된 금융시장 긴장상황이 오래가지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후지이 도모아키 아카쓰키 증권 투자리서치 부문장은 “지난 4월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북미) 긴장이 고조됐을 때도 시장의 약세는 일주일밖에 지속하지 않았다”며 “양쪽 모두 한 번 버튼을 누르면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