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파트리크 모디아노 연보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파트리크 모디아노 연보

입력 2014-10-10 00:00
업데이트 2017-08-02 16: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1945년 7월30일 프랑스 파리 교외 불로뉴 비양쿠르에서 출생.

▲ 1960년 파리 앙리 4세 고등학교 입학. 자신의 기하학 개인교사였던 소설가 레이몽 크노를 통해 문학의 세계에 눈을 뜸.

▲ 1968년 첫 소설 ‘에투알 광장’(La Place de l’Etoile)을 크노의 주선으로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간. 로제 니미에상과 페네옹상 수상.

▲ 1969년 ‘야간순찰’(La Ronde de nuit) 출간.

▲ 1970년 9월12일 도미니크 제르퓌스와 결혼.

▲ 1972년 ‘외곽 순환도로’(Les Boulevards de ceinture)로 아카데미 프랑세즈 소설 대상 수상.

▲ 1974년 모디아노가 시나리오를 쓴 영화 ‘라콩브 뤼시앵’(Lacombe Lucien)이 루이 말의 연출로 완성돼 상영됨.

▲ 1975년 ‘슬픈 빌라’(Villa triste)로 리브레리상 수상.

▲ 1977년 ‘추억을 완성하기 위하여’(Livret de famille, 원제: 가족 수첩) 출간.

▲ 1978년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Rue des boutiques obscures)로 공쿠르상 수상.

▲ 1981년 ‘청춘시절’(Une jeunesse) ‘메모리 레인’(Memory Lane) 출간.

▲ 1982년 ‘잃어버린 대학’(De si braves garcons) 출간.

▲ 1983년 ‘청춘시절’이 모셰 미즈라히 연출로 동명 영화로 제작돼 상영됨.

▲ 1984년 전 작품에 대해 프랭스 피에르 드 모나코상 수상.

▲ 1985년 ‘잃어버린 거리’(Quartier perdu) 출간.

▲ 1986년 ‘8월의 일요일들’(Dimanches d’aout) 출간.

▲ 1988년 ‘발레 소녀 카트린’(Catherine Certitude) ‘감형’(Remise de peine) 출간.

▲ 1989년 ‘어린 시절의 탈의실’(vestiaire de l’enfance) 출간.

▲ 1990년 ‘신혼여행’(Voyage de noces) 출간.

▲ 1991년 ‘폐허의 꽃들’(Fleurs de ruine) 출간.

▲ 1992년 ‘서커스가 지나간다’(Un cirque passe) 출간.

▲ 1993년 ‘고약한 봄’(Chien de printemps) 출간.

▲ 1995년 ‘슬픈 빌라’를 개작해 파트리스 르콩트가 연출한 영화 ‘이본의 향기’(Le Parfum d’Yvonne), 모디아노가 시나리오를 쓰고 파스칼 오비에가 연출한 영화 ‘가스코뉴의 아들’(Le Fils de Gascogne)이 상영됨.

▲ 1996년 ‘아득한 기억의 저편’(Du plus loin de l’oubli) 출간.

▲ 1997년 ‘도라 브루더’(Dora Bruder) 출간.

▲ 1999년 ‘신원 미상 여자’(Des inconnues) 출간.

▲ 2000년 전 작품에 대해 폴 모랑 문학 대상 수상.

▲ 2001년 ‘작은 보석’(La Petite Bijou) 출간. ‘8월의 일요일들’을 각색해 마누엘 푸아리에가 연출한 영화 ‘테 키에로’(Te quiero)가 상영됨.

▲ 2003년 ‘한밤의 사고’(Accident nocturne) 출간. 모디아노가 시나리오를 쓰고 장 폴 라프노가 연출한 영화 ‘여행 잘하세요’(Bon Voyage)가 상영됨.

▲ 2005년 ‘혈통’(Un pedigree) 출간.

▲ 2006년 ‘잃어버린 대학’을 각색한 영화 ‘샤렐 드 미카엘 에르스’(Charell de Mikhael Hers)가 상영됨.

▲ 2007년 ‘잃어버린 젊음의 카페에서’(Dans le cafe de la jeunesse perdue) 출간.

▲ 2010년 ‘지평선’(L’horizon) 발표.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