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선진국의 1인가구

[커버스토리] 선진국의 1인가구

입력 2014-07-05 00:00
업데이트 2014-07-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주요 대도시선 50% 육박, 혼자 쓰는 구조… 日 소비 증가

1인 가구의 증가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각국 통계청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의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비중은 한국(23.9%·2010년 기준)보다 높았다. 2000년 기준으로 노르웨이 38.5%, 독일 37.5%, 프랑스 32.6%로 10가구 중 3가구 이상이 1인 가구였다. 그로부터 14년이 지난 만큼 1인 가구는 이보다 더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1인 가구 비중은 1950년대 10% 미만에서 2005년 27%로 증가해 총인구의 9.7%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내 주요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 비중이 50%에 육박할 정도다. 영국도 2010년 기준 1인 가구가 750만명으로 전체 가구의 29.6%였고, 올해는 900만명(30.0%)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보다 먼저 심각한 고령화·저출산 문제를 경험한 일본도 1인 가구 비중이 2005년 28.3%에서 2011년 31.2%로 늘었다. 특히 도쿄의 1인 가구 비중은 무려 42.5%를 기록했다.

하지만 1인 가구 증가가 나쁜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다. 1인 가구는 주택과 생활용품 등을 혼자 써야 하는 구조여서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일본 경제에서 1인 가구 증가가 소비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5~2010년 가구원 수 감소(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비 증대 효과는 2.7%이고, 고령화 효과는 마이너스 0.7%인 것으로 추정됐다.

LG경제연구원 측은 한국도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소비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 한국의 1인 가구 비중은 29.6%로 늘어날 전망인데 2012년과 견줘 고령화 효과가 소비를 1.6%가량 낮추겠지만, 1인 가구의 증가가 전체 소비를 3.1% 증가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1인 가구가 증가하면 주택 유지와 수선 서비스에 대한 소비가 가장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독거노인 등 고령층이 자택을 수리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밖에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소비가 늘어날 품목으로 곡물과 신선 식품, 의약품, 화훼, 애완 동물, 병원 서비스, 운송 서비스, TV 등 가전제품을 꼽았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7-05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