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때 NSC회의중…메시지 확인안해 사고몰라”

“세월호때 NSC회의중…메시지 확인안해 사고몰라”

입력 2014-07-10 00:00
업데이트 2014-07-10 16: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조특위, 국정원 기관보고…”北, 세월호 관련 남남갈등 조장시도”

정부가 지난 4월16일 세월호 참사 당시 안보 분야 컨트롤타워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를 열고 있었으나 사고 소식이 제대로 전파되지 않아 관련 대책을 논의하지 못했던 것으로 10일 드러났다.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비공개로 열린 국가정보원 기관보고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여야 간사들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인 김현미 의원은 “오늘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은 4월16일 오전 8시30분부터 9시30분 사이에 청와대에서 NSC 실무조정회의가 열렸다는 것”이라며 “회의에는 NSC 사무처장, 외교·국방·통일 등 관계부처 차관과 국정원 1차장 등이 참석했다”고 전했다.

당시 국정원은 오전 9시20분 간부들에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세월호 사고 소식을 전달했으나 NSC회의에 참석중이던 1차장이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

김 의원은 “국방부, 청와대, 국정원 중요 책임자가 같이 회의를 하고 있었음에도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아 아무 논의나 대책 마련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당시 회의 성격과 관련해 새누리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세월호와는 관계가 없는 통상적인 조찬회의였다”고 설명했다.

또 국정원은 당일 세월호 사고 발생을 오전 9시19분 YTN 방송을 보고 처음 알았고, 국정원장은 오전 9시30분 참모회의 중 상황실장으로부터 이 사실을 대면 보고받았다고 답변, 여야 의원들로부터 국정원의 사고 파악이 늦은 것이 아니냐는 질책을 받았다.

뿐만아니라 국정원 인천지부는 청해진해운 관계자로부터 당일 오전 9시33분과 9시38분 두 차례 문자메시지로 사고 소식을 전달받으면서도 이를 50분 가까이 늦은 10시20분에야 본부에 보고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야당 의원들은 국정원이 세월호를 전쟁시 인력·물자 수송수단으로 동원되는 국가보호선박으로 지정해놓고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규정상 해양수산부가 우리에게 신청을 해서 같이 조사를 하는데 최종 지정권은 해수부에 있다”고 해명했다.

또 국정원은 “사고 초기 암초설, 좌초, 테러용의 등에 대해 의심을 가졌다”면서 “(참사 다음날인) 17일 해경으로부터 변침에 대한 보고가 있어 테러용의를 계속 주시했다가 오전 10시 광주지부에서 최종 보고를 받고 테러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보고했다.

한편, 국정원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남남갈등 혼란을 조장하기 위한 북한의 여러 시도가 있었고, 이후 SNS상의 여러 변화를 보고 있다”며 “국정원의 침몰기획설 등 유언비어가 있어 이 부분에 대북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