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특별법 기로] 유가족 “아직 싸울 힘 남았다”

[세월호특별법 기로] 유가족 “아직 싸울 힘 남았다”

입력 2014-08-21 00:00
업데이트 2014-08-21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가족대책위 총회 투표

세월호 유가족들이 여야 원내대표의 합의안을 거부하고 기소권과 수사권을 갖는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특별법에 담을 것을 청와대와 정치권에 요구하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유가족 200여명은 20일 오후 경기 안산시 단원구 도립미술관에서 총회를 열고 표결을 거친 끝에 압도적인 표차로 이같이 결정했다.
이미지 확대
20일 저녁 경기도 안산 도립미술관에서 열린 총회를 마친 세월호 유가족들이 삼삼오오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0일 저녁 경기도 안산 도립미술관에서 열린 총회를 마친 세월호 유가족들이 삼삼오오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세월호 가족대책위 가족총회는 오후 9시쯤 여야 원내대표의 재합의안 수용 여부를 두고 가족당 한 표씩 투표를 시작했다. 안건은 1안 ‘진상조사위원회의 기소·수사권 주장’, 2안 ‘상설특검 등 대안을 찾아보는 것’ 두 가지였다. 격론을 거친 끝에 오후 9시 35분쯤 총회가 끝났다. 176가족이 참여한 가운데 개표 결과는 1안 132표, 2안 30표, 무표 14표였다. 여야 합의안에 반대한다는 전날 가족대책위 집행부의 의견을 사실상 재확인한 셈이다.

유경근 가족대책위 대변인은 “지치고 고통스러운 몸과 마음을 이끌고 약 130일을 버텨 왔다”면서 “우리 아이들, 가족들이 왜 죽을 수밖에 없는지를 알고 싶다. 일상으로 다시 돌아가려면 가슴에 맺힌 한을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국정조사에서 요청된 자료의 5% 미만을 공개하고, 청와대가 재난 컨트롤타워는 아니라는 말만을 반복하고, 대통령을 만나고자 하는 가족들의 절규에 답하지 않고 청와대 2㎞ 밖에서 가족들을 가로막음으로써 답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유족들은 “지난 3개월 동안 대통령의 약속이 어떻게 지켜졌는지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대변인은 유가족들이 제시한 특별법안은 진상조사위원회가 수사권과 기소권을 갖는 것이 핵심인데 정치권이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사권과 기소권을 지금처럼 계속 주장하고 행동할 것인지, 아니면 실질적으로 진상규명이 가능하도록 융통성을 발휘할 것인지 의논했다”면서 “원래 주장했던 법안대로 고수하고 밀고 나가야겠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날 총회에 참가한 한 유족은 “어젯밤에 여야의 합의안에 반대한다고 기자회견을 하긴 했지만 60여명 정도밖에 안 모인 상태에서 얘기를 한 거니까 오늘 이렇게 많은 가족이 모인 가운데 총회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총회를 마치고 나온 한 유족은 “우리 가족들의 마음은 다 똑같다. 처음 주장했던 것처럼 진상 규명을 제대로 하는 것이 모두의 바람”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유족도 “우리는 아직 싸울 힘이 남아 있다”는 말을 남겼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4-08-21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