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 “北, 비핵화 진정성 보이면 대화 가능”

美국무 “北, 비핵화 진정성 보이면 대화 가능”

입력 2013-05-16 00:00
업데이트 2013-05-16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지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16일 대북 정책과 관련,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 있는 조치를 이행한다면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국회 한미의원외교협의회 회장인 새누리당 정의화 의원과 국제의원네트워크 공동대표인 민주당 이미경 의원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같이 밝혔다.

케리 장관은 “북한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계획은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심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미국 대북 정책의 핵심 기조는 한반도에서 평화적 방법으로 입증 가능한 비핵화를 유지하는 것”이라면서 “만약 북한이 2005년 9월 6자회담의 공동선언을 이행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포함한 국제적 의무를 이행한다면 북한과 좀 더 진전된 관계를 맺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9·19 공동성명은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파기하고 핵무기 비확산조약(NPT) 체제로 복귀한다는 약속을 담았다.

케리 장관은 “한국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이자 친구 같은 국가”라면서 “북미 관계는 남북 관계의 발전 없이는 근본적인 진전을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북한 위협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이 확고한 대북 정책을 의원 외교 차원에서 전달했다”면서 “한미 동맹을 공고히 유지하면서 한반도 위기를 공동으로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미의원외교협의회와 국제의원네트워크는 지난달 중순 북한의 핵위협으로 조성된 한반도 안보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는 서한을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존 베이너 하원의장 등에게 발송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