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1인세대 정착금 900만원으로 인상..위기가구 중점 관리

탈북민 1인세대 정착금 900만원으로 인상..위기가구 중점 관리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3-03-16 18:05
업데이트 2023-03-16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부가 탈북민에게 지급하는 정착 기본금을 기존 800만원(1인세대 기준)에서 900만원으로 인상하고 위기가구를 중점 관리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 협의회’를 6~13일 서면개최하고 정착지원금 인상 등의 내용이 담긴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시행계획’을 의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탈북민의 초기 정착을 돕기 위한 정착 기본금이 인상된 것은 4년만이다. 또 긴급 생계비 지원 상한액도 기존 10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생애총액 한도액도 기존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조정했다.
이미지 확대
(자료 통일부)
(자료 통일부)
통일부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일 우려가 있는 대상자를 상시 직접 관리하는 등 위기에 처한 탈북민을 조기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복지부에서 두 달마다 위기가구 정보를 받고 자체적인 위기 지표를 더해 관리하고 있는데 규모는 1200여명 정도 된다”며 “이 가운데 북한이탈주민 안전지원팀에서 매월 120여명씩 연락하거나 직접 찾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탈북민의 일자리, 교육, 의료 등 제도적 지원은 하나재단을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전국의 25개 하나센터가 통합안전지원의 지역거점이 되도록 업무 체계를 개편할 계획이다. 또 탈북민이 경제적 자립역량과 사회적응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맞춤형 일자리 지원, 재교육·재출발 지원 등 자립·자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탈북민 입국 과정에서 중대범죄를 저지른 혐의가 발견됐을 경우 통일부 장관이 수사의뢰를 할 수 있도록 한 법령 정비도 추진된다.

서유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