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건수, 4년째 역대 최저…초혼연령은 男 34세·女 31세 ‘역대 최고’

혼인 건수, 4년째 역대 최저…초혼연령은 男 34세·女 31세 ‘역대 최고’

이보희 기자
입력 2023-03-16 14:16
업데이트 2023-03-16 1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2022년 혼인·이혼 통계’ 발표
혼인 건수 감소로 이혼 건수도 3년째 감소
60세 이상 ‘황혼 이혼’ 줄어

이미지 확대
결혼식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DB
결혼식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DB
지난해 혼인건수가 1년 전보다 감소하며 또 역대 최저를 갈아치웠다. 남녀의 초혼 연령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16일 통계청은 전국의 시·구청 등에 신고된 혼인신고서와 이혼신고서를 바탕으로 ‘2022년 혼인·이혼 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021년(19만 2500건)보다 0.4%(800건) 줄어든 19만 1700건이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혼인 건수는 2012년부터 11년째 감소 중이다. 2019년부터는 4년째 역대 최소치를 경신하고 있다. 1996년(43만 5000건)만 하더라도 40만건대에 달하던 혼인 건수는 1997년(38만 9000건)에 30만건대로 내려왔고 2016년(28만 2000건)에 20만건대, 2021년에 10만건대로 내려앉았다. 1997년과 비교하면 반토막이 난 수준이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은 1년 전보다 0.1건 줄어든 3.7건이었다. 이 또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역대 최저치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 ‘22년 혼인 건수, 전년보다 0.4% 감소’
통계청 ‘22년 혼인 건수, 전년보다 0.4% 감소’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이 1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혼인·이혼 통계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3.3.16. 연합뉴스
통계청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25∼49세 연령 인구가 계속 줄어 인구 구조적인 측면에서 혼인 건수가 감소하는 부분이 있다”며 “혼인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도 감소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혼인 감소가 향후 출생률 감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시도별로 보면 조혼인율은 세종(4.4건), 제주(4.0건), 경기(4.0건) 등의 순으로 높고 전북(3.0건), 경북(3.1건), 대구(3.2건) 순으로 낮았다.

초혼연령 남자 34세·여자 31세…20대 후반 결혼 비율 줄어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1년 전보다 각각 0.4세, 0.2세 상승했다. 남녀의 평균 초혼 연령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 혼인 건수의 경우 남자는 30대 초반(6만 8000건·35.7%), 20대 후반(3만 8000건·19.6%), 30대 후반(3만 6000건·18.9%) 순으로 많았다.

여자는 30대 초반(6만 4000건·33.5%), 20대 후반(5만 9000건·30.8%), 30대 후반(2만 5000건·12.9%)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남녀 모두 20대 후반에 결혼하는 비율이 가장 많이 줄었다.

평균 재혼 연령은 남자가 51.0세, 여자가 46.8세로 각각 0.4세, 0.3세 올랐다. 재혼 연령도 역대 가장 높았다.

초혼 부부(14만 8000건) 중 여자 연상 부부는 2만 9000건으로 19.4%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0.2%포인트 늘었다.

외국인과의 혼인 건수는 1만 7000건으로 1년 전보다 27.2%(4000건) 늘었다. 지난해 코로나19 완화로 입국자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이혼 건수 3년째 감소…40대 초반 남녀 이혼율 가장 높아
지난해 이혼 건수는 9만 3000건으로 1년 전보다 8.3%(8000건) 줄었다. 2020년부터 3년째 감소세다. 혼인 건수의 감소로 이혼 건수도 줄어드는 것으로 통계청은 보고 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은 3만 9000건으로 전체 이혼의 41.7%를 차지했다.
이미지 확대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 추이. 통계청 제공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 추이. 통계청 제공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인 조이혼율은 1.8건으로 0.2건 줄었다. 조이혼율이 2건을 하회한 것은 1996년(1.7건) 이후 처음이다.

유배우 이혼율(배우자가 있는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은 3.7건으로 0.3건 줄었다.

연령별 이혼율(해당 연령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로 보면 남자는 40대 초반(6.9건), 40대 후반(6.8건), 50대 초반(6.5건) 순으로 높았다. 여자도 40대 초반이 7.6건으로 가장 높고 30대 후반(7.5건), 40대 후반(7.1건) 등이 뒤를 이었다.

평균 이혼 연령은 남자 49.9세, 여자 46.6세로 1년 전보다 각각 0.2세, 0.1세 줄었다. 남녀 모두 이혼 연령이 감소한 것은 1990년 이후 처음이다.

늦은 나이에 이혼하는 이른바 ‘황혼 이혼’이 감소한 결과다. 60세 이상 남자의 이혼 건수는 1만 9000건으로 1년 전보다 10.0%(2000건) 줄었다. 2004년 이후 첫 감소다. 60세 이상 여자의 이혼 건수도 1만 3000건으로 8.2%(1000건) 감소했다.

혼인 지속 기간별로 보면 4년 이하가 1만 7000건(비중 18.6%)으로 가장 많았고 5∼9년(1만 7000건·18.0%), 30년 이상(1만 6000건·16.8%) 등이 뒤를 이었다.
이보희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