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룡호 선원 못찾아…빈 구명보트 4척만 발견”

“오룡호 선원 못찾아…빈 구명보트 4척만 발견”

입력 2014-12-02 00:00
업데이트 2014-12-02 1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구조당국, “기상조건 악화로 수색작업 중단…내일 재개 계획”

러시아 서 베링해에서 조업 중 침몰한 사조산업 ‘501 오룡호’ 실종 선원에 대한 수색·구조작업이 2일 오후(현지시간)까지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러시아 구조 당국 관계자가 밝혔다.

수색·구조 작업을 주관하는 극동 캄차카주 주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트스키 항만청 해양조정구조센터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어제와 오늘 수색작업에서 모두 4척의 빈 구명보트만 발견했을 뿐 생존자는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는 “어제 구명보트 2척을 발견한 데 이어 오늘도 2척을 발견했지만, 그곳에 선원들은 타고 있지 않았다”면서 “오늘 바닷물 속에서 구명동의를 입은 선원의 시신 1구도 발견했지만, 파도가 높아 인양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관계자는 “지금까지 러시아 어선 5척이 해상에서 수색작업을 벌였으며, 오늘은 오전 8시(한국시간 오전 5시)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작업을 했고 이후 어둠이 내리고 기상조건이 악화해 작업을 중단했다”면서 “내일 오전 8시부터 다시 수색작업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사고 해역에서는 5~6m의 높은 파도가 일고 초속 25m의 강풍이 부는 가운데 눈까지 내려 낮에도 사실상 사물을 알아보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는 이어 “오늘 미국 해안경비대 소속 군용 수송기 허큘리스 C-130이 수색 작업에 동참해 몇 시간 동안이나 사고 해역에서 수색 비행을 했지만 역시 성과가 없었다”면서 “수송기는 기지로 돌아갔으며 3일 다시 작업에 동참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관계자는 또 오룡호 사고 전 캄차카 반도 동부 해안으로 대피했던 한국어선 4척도 이날 정오께 구조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 사고 해역으로 떠났다고 전했다.

관계자는 생존자 발견 가능성에 대해 “현재 사고 해역의 수온이 섭씨 영상 3도 정도로 이 정도 수온에서 하루 이상을 버티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